화정면 (여수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화정면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여수시에 속하는 면으로, 섬 지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538년 백제 시대부터 역사가 시작되어 여러 행정구역 개편을 거쳤으며, 1998년 여수시 화정면으로 개칭되었다. 10개의 법정리와 20개의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개도, 낭도, 백야도, 상화도, 여자도, 월호도, 적금도, 제도, 조발도, 하화도 등 여러 섬을 관할한다. 주요 교통로는 국도 77호선이며, 백야대교 등 여러 교량을 통해 인접 지역과 연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여수시의 행정 구역 - 시전동
시전동은 여수시에 위치하며 과거 여천시에 속했던 지역으로, 여천역과 여수공항과 가깝고 교육, 공공, 문화, 상업 시설 및 주거 단지와 선소유적지, 오충사, 신기공원, 장도 등의 문화재와 휴식 공간을 갖추고 있다. - 여수시의 행정 구역 - 쌍봉동
전라남도 여수시 중앙부에 위치한 쌍봉동은 여수시청, 주요 기관, 교통 시설이 위치한 여수시의 중심지이며, 과거 쌍봉면에서 유래하여 여천시로 승격되었다. - 전라남도의 읍·면 - 회진면
회진면은 전라남도 장흥군에 속하는 면으로, 백제 시대 마사량현에서 시작하여 고려 시대 회령을 거쳐 조선 시대 회령면으로 존속하다가 1986년 분면되어 현재 대리, 덕산리, 신상리, 진목리, 회진리의 5개 리로 구성되어 있다. - 전라남도의 읍·면 - 삼호읍
전라남도 영암군 남서쪽에 위치한 삼호읍은 대불국가산업단지 조성으로 인구가 증가하여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영암군청과 코리아 인터내셔널 서킷이 위치하고 국도 제2호선으로 연결된다. - 1914년 설치 - 이촌동
이촌동은 서울 용산구에 위치하며, 한강변 모래벌판에서 이주한 주민들에 의해 "옮겨진 마을"이라는 뜻으로 이름 붙여졌으며, 동부이촌동은 일본인 거주 지역, 서부이촌동은 개발이 진행 중인 지역이고, 한강공원, 국립중앙박물관 등 주요 시설과 이촌역을 통해 편리한 교통 환경을 제공한다. - 1914년 설치 - 담양군
담양군은 다양한 농산물과 대나무 공예품으로 유명하며, 소쇄원과 죽녹원 등의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문화유적을 가진 관광지이며, 1읍 11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메타세쿼이아 가로수길과 같은 관광 명소가 있고 고속도로 등의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화정면 (여수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유형 | 읍, 면 |
관할 국가 | 대한민국 |
소속 광역 자치 단체 | 전라남도 |
소속 기초 자치 단체 | 여수시 |
![]() | |
행정 구역 | |
하위 행정 구역 수 | 10개 법정리, 20개 행정리, 72개 반 |
면적 | |
총 면적 | 27.48km² |
인구 | |
인구 (2010년 12월 31일 기준) | 3540명 |
인구 (2022년 3월 기준) | 2129명 |
일반 정보 | |
토착어 명칭 | 화정면 |
로마자 표기 | Hwajeong-myeon |
면사무소 주소 | 여수시 화정면 백야3길 8-11 |
웹사이트 | 화정면사무소 웹사이트 |
2. 연혁
- 538년 (백제 성왕 16년) : 전라지방 구지하성(장성), 감평군(순천), 원산현, 돌산현에 속했다.
- 757년 (신라 경덕왕 16년) : 무주(광주) 관할 승평군(순천) 해읍현(여수), 여산현(돌산)에 속했다.
- 940년 (고려 태조 5년) : 여수현, 돌산현으로 개칭되었다.
- 1396년 (조선 태조 5년) : 진례만호진(삼일면 진례), 돌산만호진이 설치되고, 여수현이 폐지되어 순천부에 귀속되었다.
- 1423년 (조선 세종 5년) : 내례만호진(신항과 종포)이 설치되었다.
- 1474년 (조선 성종 5년) : 곡화(화양면 화동리) 목관에 속했다.
- 1479년 (조선 성종 10년) : 전라좌도수군절도사영이 설치되었다.
- 1523년 (조선 중종 18년) : 방답첨사진이 설치되었다.
- 1896년 (조선 고종 33년) : 나주부 관할 돌산군이 설치되었다.
- 1896년 : 돌산군에 9개 면(두남면, 금오면, 화냥면, 옥정면, 경호면, 태인면, 봉래면, 금산면, 삼산면)이 설치되어 화개면에 월호리, 자봉리, 개도리, 제도리, 상화리, 하화리가 속하고, 옥정면에 백야, 조발, 둔병, 적금, 낭도, 사도, 여자, 달천, 운두, 경도, 내백일도, 외백일도, 우도가 속했다.
- 1897년 : 여수군이 설치되어 처음에는 율촌면, 소라면, 삼일면, 여수면이 속하고, 그 다음에 쌍봉, 덕안, 구산, 화양면이 통합되었다.
- 1908년 12월 27일 : 화개면장이 발령되었다.
- 1909년 7월 17일 : 옥정면장이 발령되었다.
- 1914년 3월 1일 : 돌산군이 폐지되고 여수군으로 통합되었다. 봉래면, 금산면은 고흥군에 편입, 태인면은 광양군에 편입, 10개 면(여수, 쌍봉, 소라, 율촌, 삼일, 화정, 남, 돌산, 화양, 삼산, 화개, 옥정면)이 통합되었다. 내자일, 외자일도는 고흥군에 편입되었다.
- 1914년 4월 1일 : 화정면 초대면장이 임명되고, 법정리로 월호리(자봉), 개도리, 제도리, 백야리, 하화리, 상화리, 낭도리(사도, 추도), 조발리(둔병), 적금리, 여자리(달천, 운두)의 10개 리를 두었다.
- 1915년 9월 : 화정면사무소가 백야도 96-1번지로 이전되었다.
- 1928년 12월 : 백야등대가 설치되었다.
- 1937년 : 화정순사주재소가 설치되었다.
- 1941년 3월 10일 : 화정면사무소가 신축되었다. (백야리 94번지)
- 1949년 8월 15일 : 여천군 화정면으로 개칭되었다.
- 1952년 4월 25일 : 초대 면의원 선거가 실시되었다.
- 1962년 5월 29일 : 화정우체국이 설립되었다.
- 1968년 6월 16일 : 낭도출장소가 설치되었다.
- 1970년 6월 1일 : 개도출장소가 설치되었다. (개도리 518번지)
- 1977년 4월 1일 : 백야리에 전기가 가설되었다.
- 1979년 6월 15일 : 여자출장소가 설치되었다.
- 1983년 2월 15일 : 달천도가 소라면 복산리에, 운두도가 화양면 이천리에 편입되었다.
- 1988년 2월 20일 : 화정면사무소가 이전 신축되었다. (백야리 69-3번지)
- 1998년 4월 1일 : 여수시 화정면으로 개칭되었다.
3. 지리
화정면은 한반도 중부 남단 여수반도의 화양반도에 속한다. 화양면 최남단 힛도와 백야도는 250m 거리로, 백야도를 중심으로 남북으로 길게 뻗은 섬들이 있다. 북쪽으로는 여자만의 중심 여자도가 육달천과 3.2km 거리에 있고, 서북쪽에는 고흥반도와 2.5km 거리로 적금도, 낭도가 인접해 있다. 화양반도 서남단 공진곶에서는 조발도, 둔병도, 적금도, 낭도, 사도, 추도가 연결된다.[4]
낭도, 둔병도, 백야도, 적금도, 조발도는 한반도 본토와 연륙교로 이어져 있으며, 개도, 월호도, 제도에는 연륙교가 들어설 예정이다.
화정면은 여수시 남부 및 서남부에 위치하며, 섬으로만 이루어져 있다. 면적은 27.48km2이다. 2010년 12월 기준 인구는 3,540명, 가구 수는 1,764가구였다. 면사무소는 백야리에 있고, 주소는 전라남도 여수시 화정면 백야3길 8-11이다. 화정면은 북쪽으로 장수만, 북서쪽으로 여자만, 북동쪽으로 가막만 및 돌산읍, 동쪽으로 남면, 서쪽으로 영남면과 고흥군, 남쪽으로 남해와 접한다.[1]
3. 1. 주요 섬
화정면은 섬으로만 이루어져 있으며, 주요 섬은 다음과 같다.- 백야도: 화양면 최남단에 위치하며, 힛도와는 불과 250m 거리이다. 한반도 본토와는 연륙교로 이어져 있다. 화정면사무소가 백야리에 위치한다.
- 여자도: 여자만 중심에 위치하며, 육달천과는 3.2km 떨어져 있다.
- 적금도, 낭도: 고흥반도와 2.5km 거리에 인접해 있다. 한반도 본토와 연륙교로 이어져 있다.
- 조발도, 둔병도: 공진곶에서 분출된 섬들이다. 한반도 본토와 연륙교로 이어져 있다.
- 사도, 추도: 상화도, 하화도가 인접하고, 백야도와는 2.5km 거리에 있다.
- 상화도, 하화도: 상계도, 하계도, 장군도가 인접해 있다. 상화도와 하화도 사이에는 칠여가 있는데, 만조 시에는 거의 보이지 않는다.[4]
- 개도, 월호도, 제도: 연륙교가 들어설 예정이다.
4. 행정 구역
법정리 | 한자명 | 행정리 | 비고 |
---|---|---|---|
개도 | 蓋島里 | 월항, 신흥, 화산, 여석, 모전, 호령 | 주된 섬은 개도이다. |
낭도 | 狼島里 | 사도, 여산, 규포 | 주된 섬은 낭도이다. |
백야 | 白也里 | 백야, 화백 | 면사무소가 있다. 주된 섬은 백야도이다. 국도 77호선의 일부인 백야대교를 통해 화양면의 안포리와 연결된다. |
상화 | 上花里 | 상화 | 주된 섬은 상화도이다. |
여자 | 如自里 | 여자 | 주된 섬은 대여자도와 소여자도이다. 여자만의 중앙에 있다. 여자만은 이 두 섬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
월호 | 月湖里 | 월호, 자봉 | 주된 섬은 월호도이다. |
적금 | 積金里 | 적금 | 주된 섬은 적금도이다. 국도 77호선의 일부인 팔영대교를 통해 고흥군 영남면과 연결될 예정이다. |
제도 | 諸島里 | 제도 | 주된 섬은 제도이다. |
조발 | 早發里 | 조발, 둔병 | 주된 섬은 조발도이다. |
하화 | 下花里 | 하화 | 주된 섬은 하화도이다. |
5. 교통
화정면의 주요 도로는 국도 77호선이며, 이 노선에는 백야대교와 같은 여러 개의 교량이 포함되어 있고, 팔영대교와 같이 건설 예정인 교량도 포함될 예정이다.[2]
참조
[1]
웹사이트
일반현황 | 읍면동-화정면
http://dong.yeosu.go[...]
2015-12-16
[2]
웹사이트
읍면동-화정면
https://web.archive.[...]
2017-04-03
[3]
웹사이트
규포 | 읍면동-화정면
http://dong.yeosu.go[...]
2015-11-27
[4]
웹사이트
여수시 화정면 소개
http://hwajung.yeosu[...]
2011-08-22
[5]
웹사이트
해양수산부 연안포털 - 무인도서 관리
http://www.coast.k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